드림렉쳐(Dream Lecture)는 전국 중, 고등학생들의 비전과 진로 설계를 돕기 위해 한국고등교육재단의 대표적인 지식 나눔 프로그램으로, 2012년부터 시작하였다. 각 전문가들이 직접 학교로 찾아가는 방문 특강 “너만의 꿈을 키워라!”와 학생들을 재단으로 초청하는 초청 특강 “더 넓은 세상으로!” 두 가지 형식으로 진행된다.
내가 이 프로그램을 알게 된 것은 지난 5월 KFAS 서포터즈로써 드림렉쳐 방문 특강에 동행하면서였다. 내가 동행한 학교는 인제고등학교로, 정도원 교수님의 ‘무엇을 배워야 하는가?’라는 주제의 강연이었다.(그날의 기록은 인스타그램 링크 https://www.instagram.com/p/Csu-zqkpfIq/?igshid=MzRlODBiNWFlZA== 참고!)
고등학생 때를 돌이켜 보면 특강을 오는 분들은 다 멋있고, 대단해 보였던 것 같다. 입시 준비에만 열을 올리고 있을 때 졸업을 하고 ‘사회인’으로 살아가면서 생각해 봐야 하는 어떠한 여러 고민을 하게 해 주는 것 같달까... (우리의 경우, 졸업생 연사에 더 가까웠지만ㅎㅎㅎ)
암튼 그만큼 고등학생에게는 교과목 외 강연도 큰 도움이 된다. 그런데 그것이 해당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‘교수님’이라면 말 다 한 거나 마찬가지 아닌가(대학생인 나도 탐나는 기회였을 정도니ㅎㅎ) 또한 교수님의 전공부터 진로 탐색이나 인생을 살아가는 전반에 대한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주제까지 다양하니 학생들의 입장에서 매우 좋은 기회였을 듯싶다.
이후 초청 특강에도 관심이 생겨 재단 유튜브를 찾아보다 보니, 초청 특강 영상을 꾸준히 업로드하고 있어 손쉽게 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 현장에서 들으면 제일이겠지만 집에서 핸드폰으로도 수준 높은 강의를 들을 수 있다니, 너무나 좋은 기회가 아닐까 싶어 모두에게 홍보하고자ㅎㅎ 글을 쓰게 되었다.(하단 유튜브 링크 참고!)
한국고등교육재단(Korea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) - YouTube
내가 시청한 강연은 강성훈 서울대 철학과 교수의 ‘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 만하지 않은 것인가’이다. ‘삶’은 언제나 고민의 대상이다. ‘잘 산다’는 것은 무엇인지, 어떤 삶이 ‘좋은 삶’인지. 이는 고대 그리스, 어쩌면 그 이전부터 존재했던 고민이었을 것이다.
<변명>에서 소크라테스는 “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 만하지 않다.”라 말한다. 이는 해석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, 쉽게 말해 “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살기 마련이다.”, “돌아보며 사는 삶이 인간에게 좋은 삶이다.”라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.
그렇다면 ‘검토’란 무엇일까? 소크라테스는 ‘너 자신을 아는 것’이라 했는데, 이는 즉 나의 감정과 욕구의 총합인 영혼을 아는 것이다. 우리는 스스로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는 하지만,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. 이러한 경우 나의 내면과 표면은 달리 표현될 수 있다.
스스로를 ‘초월적 자아’로 착각하기도 한다. 예를 들어 시험 기간에 게임을 해놓고, 시험 이후 ‘내가 게임만 안 했어도 100점 맞았을 텐데~’라 생각하는 것이다. 그런데 이는 내가 ‘게임은 일절 하지 않고 공부만 할 수 있는 사람’임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.
하루에 5시간씩 게임을 하던 사람이 하루아침에 게임을 안 하기란 불가능하다. 이는 비현실적 계획이고 반드시 실패하게 되어있다. 그러나 조금씩 변화하는 것은 가능하다. 인간은 초월적 존재가 아니기에 제한적 선택만이 가능하지만, 매 선택에서 나의 삶은 조금씩 계속 변화한다. 모든 경험은 나의 새로운 자아를 만들어내고, 좀 더 나은 사람으로 나아갈 수 있다.
바쁘고 힘든 인생, 그저 버티는 게 답이라 여길 수도 있다. 그래도 긴 인생 속 본인의 삶을 제대로 영위하기 위한 한 시간의 강연 상당히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한다.
비단 해당 강연이 아니라도 하단의 사진처럼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다양한 강연이 있으니, 관심있는 사람들은 한 번 찾아보길 바란다:)
https://www.kfas.or.kr/theme/kfaschanel/dream_lecture_small_animation_2.php
'外에서 배우는 '왜?', 새로운 배움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키위키X월간 문헌정보 공동 상영회 ‘세가지 안부, 기록의 안부’ (2) | 2024.07.11 |
---|---|
문우와 함께하는 학문의 숲, 문우림 2년차 후기 (1) | 2024.03.09 |
Next Korea, New Agenda_신기욱 교수님 <민주주의의 모험-대립과 분열의 시대를 건너는 법> 저자 강연 후기 (1) | 2023.09.14 |
인재의 숲, 인재림 강연 참관 후기_백진현 국제해양법재판소 소장님 (0) | 2023.07.31 |
문우와 함께 키워나가는 학문의 숲, 한국고등교육재단 <문우림> (11) | 2023.05.02 |